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미디어학부
- 와인
- 로고 프로그램
- 별지기
- 파일io
- 커널
- 컴퓨터시스템개론
- Linux
- 로고
- Signal
- wine
- 쓰레드
- 정기철
- Android
- 리눅스
- 학복위
- 안드로이드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함수
- 컴시
- kernel
- logo
- Lock
- 운영체제
- Process
- 별
- 프로세스
- 숭실대
- 우분투
- 학생복지위원회
Archives
- Today
- Total
두근두근이야기
[bada,reference]privilege level 본문
privilege level 이란 컴퓨터의 안정성을 위해 임의로 설계 해 놓은 권한,
0레벨이 가장 높은 권한에 해당되며, 숫자가 올라갈 수록 신뢰가 나. 실제로 cpu가 메모리를 참조하는 단위인 세그먼트에는 이 권한을 명시해 놓은 DPL flag가 있다.
메모리를 참조하게 되면 우선은 DPL을 검사한 다음 PDE 및 PTEDML User/Supervisor bit를 검사하게 된다. 가상 메모리 상에서 커널레벨과 유저레벨이 분리가 되어 있는 겨우 DPL 검사는 생략하고 PDE와 PTE의 User/Supervisor bit 검사를 통해 해당 메모리의 접근 가능 유무를 판단한다.
레벨에 따라 신뢰가 낮은 영역은 이 영역에서 동작하느 Application의 문제로 인한 영향의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일단.. 알아 봤는데 ㅜㅜ 아직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ㅜ bada os... 일단 레퍼런스 보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이게 맞는 방법인지도 모르겠고.. 객체지향은 처음이라.. 너무 어렵스뭅니다.
일단 방학이니.. 여유도 많고, 항상 예제 및 블로그만 보고 공부할 수는 없으니
이렇게 공부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IT > IT ::bada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턴스(instance)란? (0) | 2012.02.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