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73)
두근두근이야기
다음과 같은 현상gui로 안가고 텍스트 모드로 갈 경우일단 로그인을 하시고다음과 같이 startx명령어를 치면 됩니다!! 짠 참고로 /etc/inittab에서 runlevel을 바꿔주면 자동으로 gui로 부팅이 됩니다.inittab이 없을 경우에는 /etc/init/rc-sysinit.conf 파일에 있는env DEFAULT_RUNLEVEL=2로 수정하시면 되요우분투 runlevel0 - shutdown1 - single user mode2 - multi user graphical mode6 - reboot
MMU는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을 관리하는 하드웨어 부품이다. 가상메모리 주소를 실제 메모리 주소로 변화하며, 메모리 보호, 캐시관리, 버스 중재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CPU가 memory에 접근할 때마다 주소를 속인다. Physical Address와 Virtual Address의 Mapping 계산을 통해 Physical Address를 Virtual Address로 바꾸어 CPU에겐 마치 Physical Address인 것 마냥 속이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이점이 있을까? MMU를 사용하게 되면1. 모든 process마다 같은 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그렇게 되면 CPU는 프로세스 관리가 쉬워지고 구현 또한 쉬워질 것이다. 실제 physical address가 13번지, 15번지 2..
간절히 바라면 반드시 이루어진다. '어떻게 해서라도 이렇게 되고 싶다'고 간절하게 바라면 그 생각이 반드시 그 사람의 행동으로 나타나고, 행동은 생각을 더욱 간절하게 한다. 하지만 그 간절함은 분명하지 않으면 안된다. 막연한 간절함이 아닌 '반드시 이렇게 하고 싶다', '이렇게 되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의지와 다짐이 분명한 간절함, 그런 꿈이 아니면 안된다.-, 이나모리 가즈오 -
지시하는 대로만 일하지 마라. 끌려 다녀서는 절대 아무일도 제대로 해내지 못하며 ,설령 일을 마무리했다 해도 만족감을 느끼지 못한다. 그 일의 리더라는 마음가짐으로 일하는 것, 즉 자연성이 되어야만 일이 즐겁고, 놀라운 성과를 거두며, 인생 역시 더욱 알차고 풍요롭게 가꿀 수 있다. 그런 자연성 인간만이 성공할 자격이 있다.- , 이나모리 가즈오 -
그래픽관련 패키지 mesa 설치 중no package 'xcb-xfixes' found 에러가 떳을 때sudo apt-get install libx11-xcb-dev libxcb-glx0 libxcb-glx0-dev sudo apt-get install libxcb-dri2-0-dev 를 설치하니 되더군요..막 찾아서 하다보니 정확히 어떤 패키지인지는 잘.. 모르겠..
makefile.in makefile.am 이게 무엇이냐..autotools에 사용되는 makefile의 일종으로 makefile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 Autotools라는 build system으로 autoconf, automake, libtool로 구성되어 있다. 즉, autoconf나 automake 패키지에 들어 있는 일련의 유틸리티들을 통틀어서 지칭하는 말이다. 소스코드의 컴파일과 컴파일에 필요한 Makefile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편리한 도구다. 자세한 코드와 예시는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기 바란다.첫번째 사이트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abusunin&logNo=30000097396&redirect=Dlog&widgetTypeCall=tr..
http://jullio.pe.kr/cs/e-kernel/index.html 임베디드 시스템 엔지니어를 위한 리눅스 커널 분석작성자 : 남상규(halite@medison.com) 소 속 : (주)메디슨, 초음파 연구소, 선임 연구원 출 처 : http://ruby.medison.co.kr/~halite 작성일 : 2002/05/21 01:10:08 Copyright © 2002 by 남상규수정 편집 : 주리오 이철호(jullio@hitel.net) 최종 수정 : 2006년 7월 13일이 문서는 리눅스 커널을 임베디드 시스템에 포팅하려는 엔지니어들을 위한 기본 지식 습득을 위해 만들어졌다. 리눅스 커널 자체의 원론적인 것 보다는 임베디드 시스템에 리눅스 커널을 포팅할 때 엔지니어가 리눅스 커널에 쉽게 접근..
- 손에는 메모 No!, 종이 No!- 대화식으로 발표할 것- PT안보고 발표할 것- 발표 제한시간이 있다면 그 시간에 맞추기- 자신있게 이야기 하기- 글씨 색(빨강 x, 튀는색 x)- 결론에는 Future Work 포함- 포인터 이용- 발표제목은 구현하고자 하는 내용- 페이지 번호 넣기- 첫 페이지, 이름, 연락처를 포함하고 자기소개를 이용해 청중에게 메모할 시간을 준다- 시간 엄수
winsock http 서버 만들기: http://wwwi.tistory.com/69네트워크 프로그래밍: http://sdr1982.tistory.com/search/%EC%84%9C%EB%B2%84http server 코드: http://opencpp.kr/Books/YSW/tcpip_SWYun_new/23/source/HTTPServe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