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커널 (6)
두근두근이야기
http://kldp.org/node/95521zImage 구조 ( head.o, misc.o, head.S piggy.o ) 1. 부트로더는 zImage를 커널 파티션에서 읽어 들여서 특정 메모리 주소에 로드 후 그 메모리의 첫 주소로 점프.2. head.o 는 메모리 초기화와 같은 작업을 수행 후 misc.o의 decompress_kernel을 호출하여3. piggy.o에 들어있는 piggy.gz 압축을 Image로 해제하여 Image 영역을 다시 재배치 시키고 start_kernel로 점프.4. piggy.gz가 만들어지는 건 커널의 각 built-in.o들을 vmlinux.lds.S를 참조하여 vmlinux로 링크하는 과정을 수행하고5. vmlinux가 만들어지면 여기서 각 comment등의 정보..
4KB이다.
http://lwn.net/Articles/320508/ Checkpoint/restart가 벌써 v13이다. barrios가 처음 이 패치를 review했던 것이 08년 9월이니 벌써 6달이 지났다. 그 후로 몇번의 review요청이 왔었으나 다른 일들로 follow up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동안 Oren은 Hansen과 함께 이 패치를 계속해서 improve시켜왔다. 하지만 Checkpoint/restart는 결코 가벼운 패치가 아니다.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커널 전반에 걸쳐 많은 core function들의 수정이 불가피하다. Oran은 이 패치가 mm에 merge되기를 바라고 있지만, Andrew는 여러 이유로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첫째로, 아직까지 toy 수준의 이러한 패치를 me..
http://lxr.linux.no/리눅스 커널소스 분석 사이트, 크로스 레퍼런스 등 제공.너무너무 유명한 사이트라는데, 수업시간에만 보다가과제를 할 일이 있어서 열심히 찾았네요.처음에 lnx.linux...인줄 알았는데ㅋㅋ 각 변수 및 함수, 자료구조 등 거의대부분이 링크되어있고, 주석처리 또한 되어 있어 편하게 소스를 분석할 수 있을거에요~전 아직 익숙치가 않아서 보는게 너무나 힘드네요ㅜ우리 모두 열심히 합시다!
리눅스 커널 공부중.. mkinitrd명령어. 이것은 무엇인가?! make + init+ read??? 이런 의미인가? 살펴봅시다! 1. mkinitrd 명령어 mkinitrd initrd-image: initrd의 파일명 kernel-version: 커널 버젼명을 쳐준다. 참고로 아래 예시는 내가 커널 설치시 썼던 명령어다. # mkinitrd initrd-3.6.11.img 3.6.11 2. mkinitrd 옵션(옵션은 아래사이트에서 퍼왔습니다: http://linuxqna.com/700) --builtin = module: 모듈이 모듈형태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커널 내부 동작해야 하는 모듈이면 이 옵션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f: initrd-image 이름이 이미 존재하면 덮어쓰기를 하게 해준..
아래 내용은 다음 블로그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rusy.tistory.com/17)task_struct의 구조struct task_struct{(1)long state;(2)mm_segment_t addr_limit;(3)long need_resched;(4)struct task_struct *next_task, *prev_task;(5)struct task_struct *next_run, *prev_run; (6)pid_t pid;(7)struct task_struct *p_cptr, *p_pptr;(8)uid_t uid, euid; (9)struct rlimit rlim[RLIM_NLIMITS];(10)struct tty_struct *tty;(11)struct thread_struct th..